연례보고서
> 알림 > 연례보고서

군인권센터·군성폭력상담소 2024 연례보고서

작성일: 2025-09-17조회: 7

안녕하세요, 군인권센터입니다.

항상 군인권센터의 활동에 따뜻한 관심과 지지를 보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
2024년은 군인권센터가 설립 15주년을 맞이한 뜻깊은 해였습니다. 후원회원님께서 보내주신 연대와 응원 덕분에 저희는 지난 한 해 동안 군 인권침해 피해자 지원과 제도 개선, 군 내부 권력에 맞선 감시와 고발 활동을 멈추지 않고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.

발간된 「2024년 군인권센터 활동보고서」에는 저희가 지난 한 해 동안 진행한 상담 통계, 피해자 지원 사업, 군 성폭력 상담소 운영 현황, 내란 및 계엄 대응 활동, 그리고 수입·지출을 포함한 재정 보고까지 담았습니다. 이는 후원회원님께서 보내주신 소중한 후원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, 또 어떤 변화를 만들어냈는지를 함께 확인하실 수 있는 기록이기도 합니다.

군인권센터는 오직 회원님의 후원으로 운영됩니다.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성을 지켜온 것은, 언제나 피해자와 진실의 편에 서기 위함이었습니다. 앞으로도 군 인권침해 피해자와 유가족의 곁에서 끝까지 동행하며, 우리 사회가 더 정의롭고 안전한 군대로 나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 

※ 2024년 주요 활동

  • 채 상병 사망 사건 진상규명: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의 구명 로비 의혹을 폭로하고,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법정 출석을 이끌어냈습니다.
  • 박태인 훈련병 사망 사건 대응: 가혹행위로 인한 사망임을 밝혀내고, 추모분향소 운영 및 지휘책임 규명 활동을 이어갔습니다.
  • 국가배상법 개정 성과: 군·경 이중배상금지 조항을 폐지시켜 유가족의 위자료 청구권을 회복했습니다.
  • 군 성폭력 상담소 운영: 983건의 상담을 접수하고, 수사·법률 지원 및 의료·정서 지원을 진행했습니다.
  • 마음돌봄 사업: 군 사망사고 피해자와 유가족의 치유·회복을 위한 자조모임과 동행 지원을 이어갔습니다.
  • 군무원 조직 설립 지원: ‘전국군무원연대’ 출범을 도와 군무원 권익 향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.
  • 12.3 비상계엄·내란 대응: 내란 관여 군·경 인사 고발, 시민체포단 활동 등 민주주의 수호 활동을 전개했습니다 

첨부드린 PDF 파일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후원회원님의 연대가 있었기에 2024년의 변화가 가능했습니다.
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군 인권을 지켜내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2025년 9월 17일


군인권센터

소장 임태훈

 

주소: (우: 04057)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4길 20 (노고산동54-64) 태인빌딩 4층 전화: 02-7337-119 팩스: 02-2677-8119
기관명: 군인권센터
고유번호: 101-80-06648
대표자: 임태훈
이메일: mhrk119@gmail.com
Copyright © 2006 군인권센터 All rights reserved.
후원계좌
국민 00993704013027 (예금주: 군인권센터)